Close
한국무역의 내일을 여는 아이디어의 산실
친환경 트렌드가 국내외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 소비재 수출기업 40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절반이 넘는 51.3%의 기업이 ‘친환경 트렌드가 자사의 수출 및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 친환경 제품 수요가 높아졌다’는 기업도 52.1%에 달했다. 한편 수출기업의 친환경 전환에 따른 가장 큰 애로는 ‘연구개발(R&D) 및 원가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하락’(31.2%), ‘인증 취득 어려움’(19.3%)으로 나타났고, 필요한 지원으로는 ‘금융지원’(25.7%), ‘인증 취득 지원’(25.2%), ‘마케팅 지원’(22.9%) 순으로 조사됐다. ‘친환경 트렌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기업 인식전환과 더불어 정부와 지원기관에서도 금융??기술??마케팅 지원뿐 아니라 친환경 산업 통계 구축, 주요국과의 상호인정 활성화, 해외인증 취득 지원 등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친환경 수출기업 포장재 친환경 인증 소비트렌드 대중소협력 애로/건의
GVC 공급망 인사이트
중국 봉쇄조치, 한국경제 성장에도 악영향 한국 GDP의 중국의존도 7.5%로 해외국 중 가장 커 영향 불가피… 중국 GDP 30% 차지하는 지역, 8주 전면봉쇄 시 한국 GDP 0.26%p 하락 예상 - 중국의 ‘제로코로나’정책으로 인한 봉쇄조치가 강하고 길게 이어질수록 우리 경제에 더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조상현)이 19일 발표한‘중국의 봉쇄조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의 최종수요가 한국 국내총생산(GDP)에 기여한 비중은 7.5%로 해외 국가 중에서 가장 컸다. 중국이 ‘제로코로나’정책으로 봉쇄조치를 내리고 이로 인해 수입수요가 감소하면 한국의 대중 수출은 물론 경제성장률 하락까지 우려된다. 연구원이 중국의 봉쇄조치를 ▲봉쇄강도(전면 또는 부분), ▲봉쇄지역 크기(중국 GDP 비중 10%~50%), ▲봉쇄기간(6~10주) 등으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현실적인 시나리오 중 하나인 ‘중국 GDP의 30% 차지하는 지역에 대한 8주 전면봉쇄’의 경우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3.4%p 하락하고 이로 인해 한국의 GDP 성장률도 0.26%p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중국이 봉쇄조치를 내린 곳은 상하이와 베이징으로 두 지역으로, 해당 지역이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4%에 달한다. 봉쇄지역의 경제비중이 10% 수준일 때, 전면 봉쇄 기간에 따라 중국 GDP는 0.85%p(6주)~1.4%p(10주) 하락하고, 이로 인한 한국 GDP 성장률은 0.06%p(6주)~0.11%p(10주)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화돼 광둥(중국 GDP의 10.9%)과 장쑤(10.1%) 등까지 봉쇄가 확대되면 봉쇄지역의 경제비중은 중국 전체의 30%에 육박하게 된다. 이 경우 봉쇄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의 GDP 성장률 타격은 최소 0.05%p(6주 부분봉쇄)에서 최대 0.32%p(10주 전면봉쇄)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8주 전면봉쇄를 가정하면 한국 GDP 성장률은 0.26%p 하락하고, 제조산업별로는 전기장비(0.08%p), 화학(0.024%p), 기초·가공금속(0.016%p) 순으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협회 강내영 수석연구원은 “중국 내 오미크론의 통제가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봉쇄조치로 야기된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가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들의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중국의 봉쇄조치 장기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붙임 : 관련 보고서 1부. 끝. <중국 봉쇄조치 시행에 따른 한국 경제에의 영향 파급경로> 자료 : 저자 작성 <봉쇄 시나리오별 한국 GDP 축소 영향> (%p) 봉쇄지역 경제비중 전면 봉쇄 부분 봉쇄 6주 8주 10주 6주 8주 10주 10% 0.06 0.08 0.11 0.02 0.02 0.03 20% 0.13 0.17 0.21 0.03 0.04 0.05 30% 0.19 0.26 0.32 0.05 0.06 0.08 40% 0.26 0.34 0.42 0.06 0.08 0.11 50% 0.32 0.43 0.53 0.08 0.11 0.13 주 : 단위는 연간 GDP 성장률의 변화(%p), 봉쇄지역 경제비중은 중국 성별 GDP 기준 자료 : ADB MRIO 활용하여 저자 계산
주요 통상현안 심층 분석 및 연구, 통상 정보 제공, 수입규제 대응 안내
트톡(Trade Talk)은 최신 무역 동향 및 통상 이슈를 알려주는 카카오 채널입니다.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